뇌교육(Brain Education)이란 ‘뇌 관련 제반 지식을 융합하여 건강, 행복,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말합니다. 여기서 지식이란 좁은 의미의 지식(Knowledge) 뿐만 아니라, 체험지식, 정보, 지혜 등의 포괄적인 의미의 지식을 뜻하며, 21세기 뇌의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에서 가장 앞서 정립된 뇌교육은 인간 뇌에 대한 깊은 탐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한 뇌철학, 뇌운영체계에 대한 핵심원리, 실제적인 뇌기능의 변화를 가져다주는 체험적 교육방법론을 갖추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정립된 뇌교육은 한민족 고유의 정신문화적 자산과 21세기 뇌과학이 접목된 형태로, 뇌교육은 한민족 전통의 인간관을 담고 있는 ‘인간완성’과 ‘홍익인간’ 정신에 그 교육적 근간을 두고 있습니다. 즉, 뇌교육은 한민족의 정신문화적 자산과 21세기 미래자산인 뇌를 통해 정립된 21세기 인간완성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뇌교육은 오랜 기간 한민족 정신문화적 자산의 회복과 인간 뇌의 근본가치에 대한 탐구와 연구를 해온 이승헌 총장에 의해 정립되었으며, 과학적 연구를 통해 체계화, 학문화 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의 뇌교육은 석박사 뇌교육 전문인력과 학문화의 산실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유엔경제사회이사회로부터 유엔협의지위(UN Consultative Status)를 부여받은 한국뇌과학연구원,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에 가입된 비영리국제단체인 국제뇌교육협회를 통해 과학적 연구, 학문화와 인재양성, 국제사회 보급과 네트워크를 함께 갖추고 있어 21세기 뇌의 시대를 맞이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뇌교육은 뇌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학문적 정립과 오랜 기간의 교육현장의 적용 데이타를 집대성하여 1단계 뇌감각깨우기, 2단계 뇌유연화하기, 3단계 뇌정화하기, 4단계 뇌통합하기, 5단계 뇌주인되기 등 5단계로 체계화 되어 있습니다. BR뇌교육의 모든 프로그램은 5단계를 근간으로 반복, 심화하여 통합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